메뉴 건너뛰기

연구원활동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원 개별활동 성과입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news.joins.com/article/23987819

 

 

“산신님, 단군님…” 그 많던 성황당은 어디로 갔을까
 

 

 

민간신앙의 대상인 지리산 성모상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여신상이다. [중앙포토]

민간신앙의 대상인 지리산 성모상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여신상이다. [중앙포토]

“나는 이 나라 어디에도, 혹은 서울 내의 어디에도 우상이나 우상을 모신 사원을 볼 수 없다는 사실이 흥미로웠고 놀라웠다. 사람들은 우상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았고, 신들을 위한 사원을 세우지 않는 것 같았다.”
 

 

고려말 유생 중심으로 반대 움직임
세종 “요사한 귀신” 신상파괴 시초

1885년 서울을 방문한 성공회 선교사 J. R. 울프가 남긴 기록의 일부다. 서양인들의 눈에 ‘이방 종교’의 전형적 특징인 ‘우상’이 보이지 않는 것이 기이했던 것. 그런데 고려 때 송나라 사신 서긍의 기록은 조금 다르다.
 
“저녁이 되면 남녀가 무리 지어 노래 부르며 즐기고 귀신, 사직, 영성에 제사 지내기를 좋아한다… (개경) 태화문 안에 있는 복원관에는 삼청상(옥황상제·노자·장자)이 그려져 있는데, 노자의 수염과 머리털이 다 감색이라…” (『고려도경』)
 
이에 따르면 수도 개경에는 크고 작은 불교와 도교의 사원이 가득했고, 고구려 시조 주몽의 어머니인 동신성모(東神聖母)의 목제 신상을 모신 사당도 있었다. 국가에선 전국의 산신에게 공(公)·후(侯)·백(伯) 같은 작호를 내리고 제사도 지냈다. 중국, 일본에는 지금도 공자의 조각상, 각종 지역신을 모신 사당과 신사가 있다.
 
한승훈

한승훈

최근 출간된 『무당과 유생의 대결-조선의 성상파괴와 종교개혁』의 저자 한승훈 원광대 동북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는 조선 중반 성리학 질서의 강화, 사대부들의 무속 퇴치와 성상파괴운동을 성상 문화 변화의 배경으로 꼽았다. 7일 한 교수를 인터뷰했다.
 
지금 다양한 전통 신상은 볼 수 없는데.
“고려말부터 성리학을 공부하는 유생 중심으로 성상반대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조선 전기, 한양에선 신상을 두지 않더라도 개성 같은 곳은 용인해줬다. 그런데 사림이 정권을 잡는 조선 중기부터 달라졌다. 1566년엔 100여명의 유생이 송악산 월정당이나 최영 장군을 모시는 덕정당까지 불태웠다. 또 나무 신상을 낭떠러지 아래로 떨어뜨렸다. 세종의 역할도 컸다.
 
세종이 신상파괴운동의 시초란 건가.
"세종도 어머니 원경왕후가 학질에 걸리자 송악산, 백악산 등의 산신과 성황신에게 기도 올리고, 북두칠성에 제사도 지냈다. 효도 차원이었다. 자신은 신상 파괴와 산신에게 내려진 작호를 박탈하려는 의지가 강했다. 인격화된 신들의 가족을 “요사한 귀신”이라고 했고, 1430년(세종 1년)엔 ‘각도산천단묘순심별감’이라는 위원회를 둬 각지의 성황신 등을 조사하고 개혁안을 제출하게 했다. 이성계 가문이 출발한 영흥에는 ‘성황계국백지신’이라고 불린 성황신과 남녀 신상 6개가 있었는데 개혁안에 따라 모두 철거됐다.”  
 
신상 파괴 뒤 대체는.
"신상 숭배는 사이비라고 봤고, 신상 대신 신주(神主)로 대체했다. 규격도 표준화했다. 밤나무 재질로 만들어,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신의 이름만 표기했다. 단군이나 기자에게 붙은 ‘조선후(朝鮮侯)’ 같은 작호도 뺐다. 서구에서 가톨릭에 대항한 프로테스탄트 운동과도 비슷하다. 당시 국제적 환경도 영향을 줬다. 명나라를 건국한 세력도 ‘몽골의 잔재’라면서 수도 남경에서 신상을 없앴다. 명나라에선 일시적인 현상이었는데, 조선에선 수백 년간 이어졌다.”
 
기독교든 성리학이든 한국에 들어오면 본토보다 더 교조적·원리주의적으로 강경해진다는 말도 있다.
"그런 측면이 있다. 기독교 근본주의적 운동도 서구에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반짝했는데, 한국에선 오래 유지됐다. 혹자는 융통성 없고 과격한 민족성에서 찾기도 하지만, 사실은 ‘주변부 의식’ 차원 같다. 중심부에서 멀어져 있지만, 오히려 정통을 가장 순수하게 지키려고 하는 현상이다.”
 
무속은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지방 수령들은 무당을 탄압했다. 야사에서 지방 수령이 귀신을 보고 놀라 죽는 등 얘기가 전해지는 건 지방에서 벌어진 유생과 무당의 대결, 그리고 무속이 살아남은 과정을 반영한다. 어느 문화에나 종교적 수요가 있다. 복을 바라고 재앙을 회피하려는 기복양재(祈福禳災), 성인이 되고자 하는 구도(求道), 또는 비를 바라는 기우(祈雨)도 있다. 유교가 구도, 기우제 등은 흡수했지만 기복양재를 대체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1. [한승훈] 공자像도 파묻은 급진파 조선 유교, ‘기복신앙’ 무속은 꺾지 못했다 (조선일보, 2021. 2. 15.)

    https://www.chosun.com/culture-life/relion-academia/2021/02/15/QAP7RTHAOFD7FKP7AOGU5SFHJY/?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공자像도 파묻은 급진파 조선 유교, ‘기복신앙’ 무속은 꺾지 못했다 한승훈 원...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116
    Read More
  2. [한승훈] “산신님, 단군님…” 그 많던 성황당은 어디로 갔을까 (중앙일보, 2021. 2. 8.)

    https://news.joins.com/article/23987819     “산신님, 단군님…” 그 많던 성황당은 어디로 갔을까       SNS 공유 및 댓글 SNS 클릭 수13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SNS 공유 더보기 민간신앙의 대상인 지리산 성모상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58
    Read More
  3. [박해남] [2020 대전세종 정책엑스포] 코로나가 불러온 사회변화… 다양한 시선에서 방향성 제시 (충청투데이, 2020. 10. 22.)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0912     [2020 대전세종 정책엑스포] 코로나가 불러온 사회변화… 다양한 시선에서 방향성 제시   박해남 도시들 코로나 이후 '포용·녹색·스마트 도시' 목표 청사진 그려… 어떻게 구현할지 과제 남...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98
    Read More
  4. [김주용] "세계 첫 日위안소 '다이살롱'에 위안부 역사관 만들자" (연합뉴스, 2021. 3. 24.)

        https://www.yna.co.kr/view/AKR20210324072100089?input=1195m   "세계 첫 日위안소 '다이살롱'에 위안부 역사관 만들자" 송고시간2021-03-24 11:22         차대운 기자 한중 학자들, 상하이 '다이살롱' 활용 방안으로 제안 상하이 2017년 '위안부 진열...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54
    Read More
  5. [김주용] “동족 학살·독립군 체포”…간도참변 ‘한국인 경찰 48명 공적서’ 발굴 (KBS, 2021.3.1.)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38
    Read More
  6. [김주용] “중국 내 항일 역사 보존할 법령 시급” (서울신문, 2021. 3. 1.)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301026032&wlog_tag3=naver     “중국 내 항일 역사 보존할 법령 시급”   ‘대한독립 대장정’ 펴낸 김주용 교수 ▲ 김주용 교수 전 세계 한국독립운동사적지는 1000여곳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19
    Read More
  7. [김주용] 독립운동 무력화 ‘밀정’ 일제 악랄한 만행 해부 (기호일보, 2020. 11. 27.)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8739   독립운동 무력화 ‘밀정’ 일제 악랄한 만행 해부 안민석 의원 등 공동주최 토론 日 관동~만주지역 실태 파악 역사 바로 세우기 기틀 마련 기자명 최승세 기자     입력 2020.11.27   지면 4면 ...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28
    Read More
  8. [김주용], 화성시 ‘독립운동가 김교헌’ 온라인 학술세미나 개최 (헤럴드경제, 2020. 11. 17.)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1117001018   화성시 ‘독립운동가 김교헌’ 온라인 학술세미나 개최 2020.11.17 18:01   [헤럴드경제(화성)=지현우 기자] 화성시(시장 서철모)는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화성시 매송면 출신의 독립운동가 ‘무원 김교...
    Date2021.03.30 By한승훈 Views20
    Read More
  9. 김주용, 2018,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이주ㆍ저항ㆍ정착의 점이지대>, 경인문화사

    책 소개 2018년 4월 대한민국과 북한의 정상이 판문점에서 만났다. 분단 이후 처음으로 판문점에서 만난 두 정상에 대해 국제사회에 관심은 뜨거울 수밖에 없었다. 전 세계 수많은 학자들은 저마다의 高見을 TV나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연신 토해내기도 했...
    Date2020.06.29 By마르셀 Views104
    Read More
  10. HK+ 동북아시아다이멘션연구단 지역인문학센터, 2019, <이야기 마실1 – 전북의 신화, 전설, 민담>, MOI

    [원불교신문=이여원 기자] 원광대학교 HK+지역인문학센터 ‘함성인문학’은 2년차 사업 결과물로 <인생인문학 전주 편– 인생, 복작복작 살 때가 좋았지>와 <이야기 마실1 – 전북의 신화, 전설, 민담> 등 서적 2권을 발행했다.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과의 공감 형...
    Date2020.06.29 By마르셀 Views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