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학술회의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개최 학술회의 소식란입니다.

KakaoTalk_20210712_100335919.jpg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제26차 콜로키움 서우 전병훈의 생애와 정신철학개최

 

 

 

 

한중관계연구원·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원장 김정현)2021722() 오후 2시 온라인으로 김성환 교수(군산대 철학과)서우 전병훈의 생애와 정신철학을 주제로 제26차 콜로키움을 개최한다.(회의 ID: 662 481 0664 암호: zCHBX0)

 

 

김성환교수는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중국 북경대에 유학하여 한국 학생 최초로 철학 석사(1996)와 박사(1999) 학위를 취득하였고, 동아시아 고대의 신선가와 도가(도교) 연구로 학위를 받은 중국에서도 이름이 알려져 있는 도가 연구의 권위자이다.

 

 

김성환교수는 20여년의 연구를 통해 우주의 정오-서우 전병훈과 만나는 철학 그리고 문명의 시간(2016)을 출간하여 전병훈(全秉薰 1856-1927)의 철학과 사상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중국에서 활동하면서 한국과 중국, 유교와 불교, 도교와 서양철학, 전통과 현대를 두루 융합하고자 시도했던 전병훈의 삶과 철학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전병훈은 한국인들에게는 생소한 인물이지만, 20세기 초 미국은 물론 유럽 여러 나라에도 알려져 있던 인물이다. 전병훈이 망명해 있던 중국에서는 그저 이름만 알려져 있었던 것이 아니라, “조선이 개벽한 이후 4천여 년 동안 이처럼 중국인의 극단적인 찬양을 받은 이가 없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기도 하다. 그것은 그가 동서고금의 철학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해서 그만의 독창적인 철학체계를 수립한 것에 대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1. [제 26차 콜로키움] “서우 전병훈의 생애와 정신철학” _ 김성환 군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2021.7.22)

  2. [제 25차 콜로키움] “동아시아 지역협력과 문화적 정체성” _ 채미화 중국 후난사범대 동북아연구센터 주임 (2021.6.8)

  3. [제 23차 콜로키움] “중국 소수민족 창세신화” _ 김선자 연세대 교수(2021.4.28)

  4. [제 24차 콜로키움] “현대 중국과 한중관계의 미래” _ 장청강 주광주 중화인민공화국 총영사 (2021.5.11)

  5. [제 22차 콜로키움] “창세신화의 이해: 개념, 유형, 분석 사례 등을 중심으로” _ 최원오 광주교대 교수 (2021.4.14)

  6. [제 21차 콜로키움] “중국 고전과 서학 사이: "천(天)", '천연(天演)'그리고 "적자(適者)에 대한 옌푸(嚴複)"의 시각” _ 왕중강 중국 북경대 교수 (2021년 4월 1일)

  7. [제 20회 콜로키움] “유라시아 창세신화와 한국” _조현설 서울대 교수 (2021년 3월 31일)

  8. [제 19회 콜로키움] “세계사 속의 근대 한국사: 램지어 사태의 교훈” _이진희 미국 이스턴일리노이주립대 교수 (2021년 3월 26일)

  9. 동북아 내셔널리즘의 형성과 변화(2021년 3월 4일) [제21차 학술회의]

  10. 동북유라시아 문화의 교접과 혼종(2021년 2월 26일)[제5차 국제학술회의]

  11. 동북아 교역 · 교류의 사상지형과 지역질서(2021년 2월 18일)[제 20차 학술회의]

  12. [제 19차 학술회의] 동북아시아의 갈등과 현재 (2021년 1월 21일)

  13. [제 18회 콜로키움]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Korean Divisions” (집단 책임과 한국의 분단)_마크 카프리오 일본 릿교 대학 교수 (2020년 12월 17일)

  14. [제 4차 국제학술회의] 동북아 역사·문화의 상처와 치유: 제노사이드를 중심으로 (2020년 12월 17일)

  15. [제 17회 콜로키움] 문화변용론으로서 동아시아의 ‘근대적 지형도(知形圖)’ 해독_강원대 이광래 명예교수(2020년 12월 10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